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2025년 임신출산 지원금 신청방법 완벽 가이드

1. 임신 지원금(국민행복카드 바우처) 신청하기

지원 금액

단태아: 100만원
다태아: 140만원

신청 방법

  1. 국민행복카드 발급 → 농협, 신한, BC카드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  2. 임신확인서 발급 → 산부인과에서 받아서 카드사 제출
  3. 온라인 신청 → 정부24, 복지로 사이트

2. 첫만남이용권(출산지원금) 받기

지원 금액

첫째아: 200만원
둘째아 이상: 300만원

신청 방법

  1. 출생신고 완료 → 주민등록번호 부여 후 신청 가능
  2. 방문 신청 → 주민센터 직접 방문
  3. 온라인 신청 → 정부24, 복지로 사이트
  4. 준비 서류 → 신분증, 가족관계증명서

3. 부모급여 신청하기

지원 금액

만 0세(0~11개월): 월 100만원
만 1세(12~23개월): 월 50만원

신청 방법

  1. 신청 기한 → 출산 후 60일 이내 신청
  2. 온라인 신청 → 복지로, 정부24 홈페이지
  3. 방문 신청 → 관할 지역 주민센터
  4. 준비 서류 → 신분증, 통장사본, 가족관계증명서

4. 아동수당 신청하기

지원 금액

만 7세 미만(0~83개월): 매월 10만원

신청 방법

  1. 출생신고 후 →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
  2. 준비 서류 → 신분증, 통장사본, 가족관계증명서

5. 산후도우미 지원 신청하기

지원 내용

지원 기간: 소득과 자녀 수에 따라 5~20일
지원 대상: 출산 가정 (쌍둥이 등 다태아는 기간 확대)

신청 방법

  1. 신청 기간 → 출산 예정일 40일 전~출산 후 30일 이내
  2. 신청 방법 →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
  3. 준비 서류 → 신분증, 건강보험증, 출산예정일 증빙서류

6. 난임부부 지원 신청하기

지원 내용

시술비 지원: 건강보험 적용 시 본인부담률 30%
시술 횟수: 최대 25회
추가 지원: 가임력 검사, 난자/정자 동결비

신청 방법

  1. 진단서 발급 → 산부인과에서 난임 진단서 받기
  2. 신청 방법 →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
  3. 준비 서류 → 신분증, 진단서, 건강보험증, 가족관계증명서

신청 시 공통 준비 서류

  •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  • 가족관계증명서
  • 통장사본 (지원금 입금용)
  • 건강보험증 (해당 지원금)
※ 지자체별 추가 출산장려금은 거주지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